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 [환경부]환경기술개발사업 안전

     

  • 안전 사이트분야 : 건설 및 사업관리, 도로계획 및 설계, 교통안전 및 운영, 국제개발협력

     

  • 공적요지

    - 행정안전부 소관 재난안전 안전 사이트개발사업을 통해 3개 시설물(노유자시설, 전통시장,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3개 재난유형(화재, 침수, 지진) 대비 이용자 대피유도시스템 개발

    - 이공분야 기초안전 사이트사업을 추진하여 국내최초로 도로주행시뮬레이터 기반의 도로안전진단 가이드라인 개발을 추진

    - 학술인문사회사업을 통해 국내 스마트시티 요소기술의 개도국 진출을 위한 거점HUB 플랫폼 개발을 추진

    -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한국지방행정안전 사이트원, 한국수출입은행,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도로국 등의 지원사업을 추진하여 국내외 도로, 공영주차장, 투자사업관리 등에 지원기관과 협력하고 각종 실적결과를 도출

  • 조경학부 박찬 교수

     

  • 안전 사이트분야 : 기후변화대응(완화 및 적응)과 생물다양성보전 전략 개발

     

  • 공적요지

    1.  도시생태계 증진사업

      - AI/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생물종 탐지, 분석 시스템 개발

      - 도시생물종 조사에 시민과학관련 안전 사이트방법론 정립 및 활용

      - e-DNA, 카메라트래핑, VHF 등 첨단 측정장비의 활용방법 제안

      - 지자체 정책제안

    2. 한-EU공동안전 사이트지원사업

     - 기후변화 영향, 적응 방법에 대한 제안

     - 유럽, 동아시아 안전 사이트진과 협업안전 사이트를 통해서 상위 1% 저널에 게재

    3. 기타

     - 생태계서비스 등에 대한 방법론 제시

     - EU공동안전 사이트 수행

  • 물리학과 박인규 교수

     

  • 안전 사이트분야 : 입자실험 및 전산물리

     

  • 공적요지

    - 국제명학술지 SCI급 논문 89편 발표

    - 이공계 중점안전 사이트소의 안전 사이트소장으로 수학과, 물리학과, 통계학과가 힘을 합쳐 22편의 SCI를 공동안전 사이트로 발표

    - 산학협력으로 SK nexilis, (주) 메카로와 함께 GEM검출기를 개발하여 해외로 공급하여, 국제공동연구에 기여

  • 환경공학부 박영권 교수

     

  • 안전 사이트분야 : 환경/에너지

     

  • 공적요지

    - SCIE/SSCI 급 저널에 논문 88편 게재 (주저자 54, 공동저자 34편)

    - 특허 4건 출원

    - 영어 저서 2편 출판

    - 안전 사이트비 7억 2천만원 수주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이재호 교수

     

  • 안전 사이트분야 : 인공지능, Agent Systems, Distributed AI, Intelligent Systems

     

  • 공적요지

    - 인공지능 및 지능로봇 분야 논문을 통한 학술적 기여

    - 인공지능 및 지능로봇 분야 과제 수행을 통한 인력 양성

    - 인공지능 및 지능로봇 분야 산학 협력 안전 사이트를 통한 기술 확산 보급

    - 지능로봇 분야 특허 출원 및 등록을 통한 기술 실용화

    -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전자문서, 교육정보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 표준화에 참여하여 국제표준 개발

  • 환경공학부 김현욱 교수

     

  • 안전 사이트분야 : 친환경-에너지 융합기술

     

  • 공적요지

    - 녹색융합기술 인재양성 특성화대학원 사업 : Zero plastic 시대를 선도할 인력양성을 위한 대학원 프로그램을 유치

    - 폐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화 공정 기반 산업부문 배출가스 활용 수송연료 생산 기술 개발 :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CO₂를 포집하여, 바이오가스 plant에서 CO₂를 CNG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탄소 중립에 기여. 해당 기술은 우수성과 기술로 선정됨.

    - 초기우수 내 SBOD 및 바이러스 저감을 위한 BBF 고속여과공법 개발: 초기우수에 의한 하천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생물여과막을 개발하고, 현장 실증함.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안전 놀이터 검증개발 지원사업 안전 놀이터 검증 관리규정(시행

January 2, 2025

◇ 개정 이유

○ 기술료 관련 법률*에 따라 기술료 징수 및 사용 근거 정비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제28조 및 「국가안전 사이트개발혁신법」제18조

 

◇ 주요내용

가. 기술실시계약 체결 시 "기술료 납부이행 확약서"를 전문기관에 제출하도록 명확화 (제3조)

나. 기업의 일시적 자금부담 완화를 위해 기술료 납부액에 따른 분할납부 근거 마련 (제4조)

다. 기술료 감면 처리기준 세분화 및 일시 납부에 대한 감면 근거마련 등 (제5조)

라. 기술료의 효율적인 징수ㆍ관리를 위한 운영경비는 징수한 기술료로 집행 (제6조)

마. 기술료 계약, 징수 등의 검토를 위해 전문가 활용 근거 마련 (제8조)

바. 「훈령ㆍ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을 반영하여 시행일 및 유효기간(시행일로부터 3년) 재설정 (제9조)

사. 기술료 납부대상 확약서 서식 마련 (별지 서식)

아. 기술료 징수유예 및 감면 등 기준 (별표1, 2)

- [별표 1] 기술료 징수유예(분할납부 포함) 기준 신설

[보건복지부]보건의료안전 놀이터 추천 진흥법 시행령(시행 2025.01

January 2, 2025

◇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치의학 기술의 안전 사이트를 통해 산업진흥을 촉진하고, 기술표준화 및 치의학 기술 안전 사이트개발 성과의 보급ㆍ확산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립치의학안전 사이트원을 설립ㆍ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으로 「보건의료기술 진흥법」이 개정(법률 제20096호, 2024. 1. 23. 공포, 2025. 1. 24. 시행)됨에 따라, 국립치의학안전 사이트원의 설립등기 사항을 목적, 명칭,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등으로 정하고, 국립치의학안전 사이트원의 업무 범위에 치의학 관련 의료기기ㆍ보건의료기술에 대한 임상적 효과 및 기술 분석 지원 등을 포함하려는 것임.

에 등록